재택근무를 하면서, 출퇴근 시간이 줄어들어, 넷플릭스, 유튜브를 시청하는 시간이 늘었어요.
유튜브는 이전에 구독하고 있는 채널들에 대해서 소개드린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넷플릭스에 있는 경제 공부 컨텐츠에 대해 소개해볼까 해요.
1. 미니멀리즘 : 비우는 사람들의 이야기
지난 글에서 경제공부의 기반은 나 자신을 아는것에서 부터 시작한다고 말씀 드렸는데,
저의 선호도, 소비관념 등에 대하여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 컨텐츠는 제 소비관념에 대해 되돌아보며 생각해보는 계기가 된 컨텐츠 입니다.
소유할수록 행복해진다는 미국의 이상을 거부하는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비움의 미학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에요.
두명의 미니멀리스트 ( 조슈아 필즈 밀번, 라이언 니커디머스)를 기준으로 진행되는 다큐멘터리입니다.
작은 집에서, 소박하게 살며,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꼭 필요한 물건들과 함거ㅔ, 제 삶에 진정한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며 사는 미니멀리스트들을 볼 수 있어요. 이들을 보면서 내 주변에 불필요한 물건들이 참 많다는 것을 깨닫고, 이 물건을 줄이고 단순하게 살면 내 삶에 더 집중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에 많이 공감됐어요.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면, 경제적 여유가 덤으로 찾아오겠죠! 양보다는 질에 집중하고, 소박합과 지속가능함에 초점 맞추어 살아가는것! 이것이 진정한 미니멀리즘인 것 같아요. 저는 미니멀리스트로 사는 것에는 자신 없지만, 소비하기 전 이것이 꼭 필요한 부분인지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습관과 물건을 쌓아놓지 않고 단순하게 살아가는 습관을 기르려고 노력해보려 해요.
2. 블랙머니
2019년에 개봉된 조진웅, 이하늬 주연의 영화에요.
영화관에서 보신 분들도 있겠지만, 저는 영화관에서 보는것 보다 집에서 보는 것을 즐기는 편이어서, 검색 하다가 알게 되었어요.
이 영화는 대한은행 헐값 매각사건을 다룬 이야기로, 자산가치 70조 은행이 1조 7천억원에 넘어간 사건에서 금융감독원, 대형 로펌, 해외펀드 회사가 뒤얽힌 거대한 금융 비리의 실체를 그려낸 이야기에요.
이 영화는 2000년대 초에 있었던 론스타 게이트 사건이라고 불리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로, 론스타게이트를 나무위키에 검색하면 대략 어떤 내용인지 아래와 같이 확인 할 수 있어요.
간단하게 개요부터 보시면 미국계 헤지펀드인 론스타가 외환은행을 인수 및 매각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여러 논란 및 사건들. [ 출처: 나무위키 ]
금융기관이 아닌 주체가 금융기관을 인수하려면 BIS비율이 8%이하인 부실 금융기관만 인수할 수있어요. 2003년 3가지 보고서에 의해 발간된 외환은행 BIS비율은 8.24 ~ 9.14%였는데, 외환은행이 회계조작으로 일부러 BIS비율을 낮춰론스타가외환은행을매각을 도왔다는 의혹을 받는 사건이죠.
론스타가 외환은행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BIS가 뭔지 간단하게 공부해보려구요.
BIS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capital ratio]
상세적으로 자기자본비율은 은행의 건전성을 판단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데 이에 대한 기준을 국제결제은행(BIS)이 국제 합의를 위해 기준을 정해놓고 있다.
은행의 자기자본비율 계산법은 자기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뒤 백분율로 환산해 구한다. 여기서 자기자본은 은행이 외부에서 차입한 돈, 즉 기업이나 개인의 예금이 아닌 자본금, 이익잉여금 등의 자체적인 자본을 의미하며, 위험가중자산은 회수 가능성이 불확실한 투자 자산이나 대출·여신을 의미한다.
이 비율이 나타내는 것은 아주 명료한데 요약하면 은행 입장에서 떼일 위험이 높은 돈(위험가중자산)에 비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본(자기자본)이 얼마나 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A은행이 자기자본에 차입금을 포함하여 1,000만원이라는 총자산을 가지고 은행업을 하고 있는데, 이때 10만원이 자기자본이고 위험가중자산으로 분류된 대출이 100만원이면 BIS 비율은 10%가 된다. 말인즉슨 A은행은 위험자산의 10%를 회수하지 못해도 자기자본으로 땜빵할 수 있다는 의미.
이렇게 설명하면 10%라는 수치가 많이 낮아보일 수도 있겠지만 국제결제은행의 권고 비율은 8%이다. 국책은행들 및 특수은행들을 포함하여 대한민국의 거의 모든 은행들은 8%를 넘기고 있다. [ 출처 : 나무위키 ]
결국 위험가중자산이 클고 보유하고 있는 자본이 낮을수록 BIS가 낮고 RISK가 큰 부실금융기관에 가깝다고 판단이 가능한 수치라는 점이네요. 이렇게 경제 관련 용어 하나씩 차근차근 영화를 통해 공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것 같아요.
아래 3가지는 아직 보지 못했지만, 인터넷 서칭을 통해서 경제과 관련있는 컨텐츠라고 추천받은 것들을 추가로 적어봤어요. 하나씩 차근차근 보고, 후기를 또 남겨볼게요~
3. 시크릿 세탁소
줄거리 : 남편을 잃었는데, 보험금은 턱도 없다. 분노에 휩싸여 답을 구하는 여인. 맹렬한 추적 끝에 그녀는 갑부들을 위해 현금을 세탁하는 파나마의 교활한 변호사 둘을 찾아낸다. [ 출처 : 네이버 영화 ]
4. 빅쇼트
줄거리 : 2005년, 모두를 속인 채 돈 잔치를 벌인 은행들.
그리고 이를 정확히 꿰뚫고 월스트리트를 물 먹인 4명의 괴짜 천재들.
20조의 판돈, 세계 경제를 걸고 은행을 상대로 한 진짜 도박! [ 출처 : 네이버 영화 ]
5. 빌리언스
뉴욕 월스트리트의 금융 거래 세계와 외교 정책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 출처 : 네이버 영화 ]
다양한 매체를 통해 경제를 공부하는 것은 초보 재테크 인으로써 정말 좋은 방법이에요.
하나로 계속 진행하기엔 분명 지루할테니까요!
혹시 다른 좋은 컨텐츠나 매체가 있다면, 추천 부탁드려요~~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다 경제 - 경제 세미나 후기 ' 지금 당장 시작하는 주식 공부 5일 완성' (0) | 2020.04.03 |
---|---|
경제공부 - 초보재테크 일기6 - 한국형 양적완화, 채권에 대하여 (0) | 2020.04.02 |
경제공부 - 초보재테크 일기 4-CMA,MMF (0) | 2020.03.31 |
경제공부 - 초보재테크 일기 3-카드설계 (0) | 2020.03.31 |
경제공부 - 초보재테크 일기 2-재테크공부계획 (0) | 2020.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