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지난 글에 이어서 KBS 다큐멘터리 돈의 힘의 내용 요약을 더 해보려구요
지난 글에서 2부까지 요약해봤고, 이제 3부부터 내용 적어볼게요!
3부 거품과 붕괴
3부에서는 주식시장에 대한 내용이에요.
이전에 말씀드렸다 신용이 곧 돈이었고, 회사에 대한 신용이 주식으로 이어졌어요.
유럽이 아프리카 나라의 향신료를 판매하면서, 동인도회사가 설립되었어요
동인도 회사의 가치를 믿고 투자한 사람들에게 주식을 발행하였고,
동인도 회사의 매출이 늘어나면서, 주주들은 많은 돈을 벌 수 있었어요.
이런 주식과 회사의 관계를 인지한 존로는 은행을 만들어 투자금으로 정부의 부채를 은행의 주식으로 전환했어요.
또한 독점 무역회사인 미시시피 회사를 설립하고, 폰지사기를 통해 주가를 상승시켰어요.
폰지사기란 신규 투자자의 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이자나 배당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다단계 금융 사기에요.
이런 방식으로는 마지막 투자자가 모든 손해를 떠안게 되는 거죠.
미시시피 회사의 수익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주식은 휴지조각이 되었어요.
이렇게 신용이 무너지고, 대중의 신뢰를 져버리면서 거품이 무너지는 과정에 대한 설명한 것이 3부의 내용이에요.
4부 위험한 거래
4부에서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경제에 대한 이야기에요.
가장 먼저 보험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죠.
보험은 스코틀랜드 성직자들이 만든 것으로, 성직자들이 사망 후 유가족이 고생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졌어요.
이때 가입자가 많을 수록 평균 수명으로 예측하기 쉽다는 것을 알게 되어 대중화 되기 시작했어요.
이런 개념이 확장되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국가가 생겨난거죠
일본에서 먼저 전 국민이 군인이라는 제국주의의 시작으로,
전 국민이 군인이며, 안정적인 군인 공급을 위해 나라가 국민의 보험이 되는 복지국가의 개념이 시작되었어요.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복지국가의 개념이 연금으로 확산되고,
연금제도는 칠레에서 신자유주의로 개인연금으로 확산되었죠.
연금제도는 노인 인구수가 많아지면서 경제를 침체시키기도 했어요.
두번째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헤지펀드, 선물 계약에 대한 이야기도 나와요.
헤지펀드 : 국제증권 및 외환시장에 투자해 단기이익을 올리는 민간 투자기금,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운영하는 일종의 사모펀드로, 시장상황에 개의치 않고 절대수익을 추구한다.
선물 계약: 수확한 작물의 가격을 미리 확정하고 상인들이 구매하는 계약 선물계약은 확장되어 옵션의 개념도 등장하죠.
옵션 : 주식, 채권, 주가시주 등 특정 자산을 일정시점에 미리 정해진 가격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거래.
5부 안전자산, 집
5부에서는 부동산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에요.
초기 영국에서는 귀족들만이 토지를 가지고 있고,
토지 가치를 맹신하여 토지를 담보로 하여 무리하게 대출이 진행되고
대출금을 갚지 못하여 파산하는 귀족들이 생겼어요.
집을 소유하는 것이 안정적이라는 개념은 어느나라에서든 공통적이어서,
자본주의 이후 미국에서는 뉴딜정책을 통해 낮은 금리로 주택을 살 수 있는 모기지 대출이 진행되었죠.
하지만 모기지대출에서 흑인은 제외되었고, 이에 대해 여러 시위와 폭동을 통하여 흑인에게도 확대되었어요.
대출이 확대되면서, 신용등급이 낮으사람(서브프라임), 소득과 직업, 재산이 아무것도 없는 사람도 대출이 가능해져요.
그러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이 붕괴하면서 2007년 금융위기가 시작되요.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에 대해 더 쉽게 이해하기를 원하시면, 영화 빅쇼트를 추천드려요! )
비슷하게, 일본에서도 1990년 부동산 거품이 터지면서 부동산 가격이 폭락하죠.
부동산이 안정적이라는 개념이 생기면서, 가상 부동산을 만드는 금융사기단의 사건도 생기죠.
부동산 개발업체가 미개발 지역을 상대로 땅값을 부풀리는 희대의 사기극도 생기게 되요.
마지막에는 볼리비아 여성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요.
볼리비아에서는 가난한 여성의 경제활동을 소액 대출로 지원하는 제도에 대해 알수 있었어요
이 소액대출과 여성들의 교육을 병행하면서, 여성의 신용이 안전자산으로 그려지는 내용이에요.
이 부분에서는 안전자산이 어떤 의미인지, 부동산이 안전자산인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부동산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었네요.
여기까지 돈의힘 다큐멘터리 3-5부의 내용정리를 해봣어요.
다음에는 돈의 힘 다큐펨터리 6부와 영화 빅쇼트에 대한 후기를 가져올게요!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긴급 재난지원금 총정리 (0) | 2020.05.06 |
---|---|
경제공부 - 금 투자 방법 총 정리! (1) | 2020.04.20 |
경제공부 - 돈의힘 다큐멘터리 후기 (0) | 2020.04.17 |
경제공부 - 해외주식 시작하기 (0) | 2020.04.16 |
경제공부 - 주식거래 방법(모바일 나무 증권 어플), 시간, 해외주식 (0) | 2020.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