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경제공부 - 해외주식 시작하기

by fire45 2020. 4. 16.

지난번에 국내 증권사 어플로 해외주식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했어요. 

그래서 해외주식 시작할 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하는지 알아보려고 해요. 

 

지난 번 글을 잠깐 언급하면,

1. 증권사 어플에서 해외주식 구매 가능

메인 화면에서 해외주식 파트를 확인 할 수 있고, 종목 검색해볼 수 있어요. 

 

2. 15분 지연  구매  

지난번에 말씀 드렸다 시피, 해외주식을 국내 증권사를 통해 구입할 때엔는

15분 지연된 가격으로 구매가능하다는 점.

그래서 investing.com 에서 확인 할 수 있는 주가와 모바일 나무 증권사 어플에서 확인하는 주가가 차이나죠!.

 

3. 환율 

해외 주식 구매시 고려해야 할 점 중 하나는 환율이에요.

매매시 파악하는 주가는 미국의 경우 달러로 표시되고, 환율을 고려한 가격으로 구매 가능해요. 

그러면 주식 매수할때, 환율이 낮다면 조금 더 이익을 볼 수 있겠죠. 

그래서 환율이 쌀때 미리 환전해놓고, 싸게 구매하는 것이 좋겠죠. 

주식의 기본은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거니까요~

 

4. 거래수수료 및 세금

해외 주식 매매에서 중요하게 생각할 것은 거래 수수료, 세금등 추가 금액이 들어가기 때문에 잘 알아야 해요!

 

1) 거래수수료 및 환전수수료

국내증권사의 경우, 거래 수수료로 대략 0.25% 정도 받고 있어요. 

거래 수수료의 경우 구매할때, 팔때 모두 부과되기 때문에 해외 주식은 자주 사고 팔면 수익이 적어져요. 

그리고 환전 수수료가 0.3% 정도 부과되죠. 

 

2) 양도소득세 

수익에 대해서 양도소득세도 부과되죠. 

양도소득세는 장외거래, 비상장주식 매매차익, 해외 주식 매매차익이 250만원 이상일때, 

250만원을 제외한 금액의 22% 가 세금으로 부과되요. 

이런 소득세는 매도 다음해 5월 1일부터 31일까지 신고 후 납부해야 해요. 

 

3)배당소득세

해외 주식의 가장 큰 장점인 배당금이 있죠. 

해외주식의 배당소득세의 경우, 나라에 따라 다른데 미국의 경우 15%의 배당소득세를 내요. 

 

해외주식의 경우 우리가 직접 구매할 수 없어, 국내 증권사를 통해야 하고, 

환전을 통해 달러 또는 현지 통화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거래 시 좀 까다로운 측면이 있죠. 

해외주식의 경우, 매번 사고 팔때, 거래 수수료가 드니, 수익률을 내기가 힘든 점이 가장 큰 단점이에요 

 

그래도 해외주식을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배당금 때문이에요!

우리나라의 경우 배당금을 보통 1년에 1회 지급하지만, 해외주식은 평균적으로 분기에 한번 지급해요. 

한번 매수하여 오래 가지고 갈때, 분기별 배당금을 받고, 주가가 오른다면 수익이 좋겠죠!

이런 배당 정보는 키움증권 영웅문S글로벌 어플이 정말 잘되어 있어요. 

예시로 아래 보시면, 애플은 2.5.8.11월에 지급하고, 길리어드는 3,6,9,12월에 지급하죠

이렇게 두개의 주식을 따로 구매하면 2,3,5,6,8,9,11,12월 총 8개월동안 배당금을 받을 수 있어요!!

매월 배당금을 받을 수 있도록 잘 짜맞추면 얼마나 좋을까요, 매월 보너스를 받는 것이니까요.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락일 이전에 주식을 소유하고 있어야 해요.

배당락일을 잘 보고, 주식을 구입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겠죠! 

이렇게 오늘을 해외주식에 대해 알아봤어요! 

다음엔 또 다른 주식 이야기로 찾아올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