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지난번에 작성했던 주식 세미나 두번째 파트의 내용을 정리해보려 해요.
두번째 파트는 가치투자시 종목을 어떻게 평가하는가에 대한 내용이었어요.
지난 번에 주식 용어를 정리했다면 이번에는 종목에 대해 공부하는 내용이었어요.
큰 목차는 위와 같구요. 하나하나 살펴볼게요!
종목 고를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저평가된 종목을 고르는거에요!!
두가지 가장 큰 목표를 설정하고! 종목 평가를 같이 진행해볼까요!
어떤 종목을 평가해봐야 할 지에 대한 부분은, 뉴스를 보면서 3가지 Main 기사를 고르고
그 중 한가지 종목을 정해서 여러번 해보는 것을 추천하셨어요!
네이버 -> 종목 검색 -> 재무(연간실적, 분기실적), 뉴스.공시(공시정보)
1단계 : 3년간 당기순이익 확인 (최소 3년, 분기별 1년간 점검)
1차 목표) 적자기업회피를 위해 3년간 당기순이익 확인
손실이면 유상증자(주식관련사채발행), 상장폐지우려로 탈락!!
2차 목표)투자성판단, 미래당기순이익 예측 필요
매출액, 영업이익 추이도 함께 체크
2단계:시가총액확인
시가총액=주식수*주가
주식관련 사채 교부 예상 물량(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사채, 교환사채)
교부예상 물량은 주식관련 사채를 의미하고, 나중에 교부되면 시가총액이 커질 수 있음
*가격하향조정(70% 리픽싱), 주식수증가 감안
3단계: 미래 PER 계산 - 1단계, 2단계 활용
당기순이익, 시가총액 비교
PER(Price-Earnings-Ratio): ‘이익 대비 배수’
PER가 낮으면 저평가, PER가 높으면 고평가되었다
주가수익비율(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주당순이익(EPS) = 당기순이익 / 주식 수
PER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미래PER 10배이면 10년이면 투자금 회수 (PER은 낮을 수록 좋다)
당기순이익은 미래 예측치 이용
금등임에도 미래실적대비 저평가면 매력적
미래 PER 10배 이하일 경우 분할매수
4단계 :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안정성 비율>
수많은 재무비율 중 안전하고 가성비 높은 분석
부채비율 낮게, 당좌비율과 유보율 높게 (최소 3년, 최대 5년간 분석)
유상증자방지 : 부채비율, 당좌비율
무상증자가능성 : 유보율
부채비율 높고 (100% 이상), 당좌비율 낮으면 (100% 미만) 유상증좌 가능성, 피하자!!!!
유보율 높으면 현금 쌓아놓았다는 의미
부채비율 = 부채총액 / 자기자본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유보율 = 잉여금 / 자본금
5단계 : 3년간 뉴스, 공시 확인
재무자료에 없는리스크 확인
투자를 위한 호재 발견
미래 이익추정치 확인 - 미래 PER 구하기 위함
공시는 기업 내부자료 공개행위 ( 금감원 다트, 네이버 등 포탈에서 호재, 악재 확인 )
6단계 : 3년간 시가배당률 계산
과거 3년간 배당 확인 & 미래 배당 예측 (실적확대는 배당증가로 연결)
미래시가배당률, 미래PER이 투자기준
미래시가배당률 = 미래배당금/ 주가
예금금리(2%)의 2배 이상이 매력적
시가배당률 4% 매수 후 2%까지 보유
배당부/ 배당락/ 배당기준일을 공시에서 현금.현물 배당 결정에서 확인 가능
7단계 : 3년간 지분률 확인
5% 이상 지분을 가진 주주의 변동률 공시 (주로 외국인, 기관투자자)
임원, 주요주주 공시 (주요주주는 10%이상 보유,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지분공시 확인 목적 : 고배당, 품절주, 경영권
최대주주, 외국인, 기관투자자 매도는 악재
최대주주 고정매도는 악재
8단계 : 매출채권과 재고자산회전율 확인
외상과 재고가 많으면 망함 (매출채권은 외상값, 외상매출금, 받을어음 등)
허위매출, 매출채권 회수 지연, 재고누적확인
매출채권과 재고자산 비중이 크고 3년간 증가하면 주의
네이버에서 확인 가능
매출채권 회전율 = 매출액 /매출채권
재고자산 회전율 = 매출액/재고자산
9단계 : PBR 확인
PBR은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자로, 주가 순자산 비율을 의미
PBR = (시가총액) / (순자산)
PBR은 굴뚝 기업 투자에 중요 판단 요소
PBR 1배 이하 순자산 대비 저평가
낮을수록 저평가 된 기업이므로 투자 적절
저PBR도 실적이 받쳐줘야 주가 상승
실적 개선이면 순자산 증가로 PBR 좋아짐
PBR 보다는 PER , 3년간 시가배당률을 우선으로 투자 적절성 판단
cf) CAPE=시가총액/최근 10년 평균 순이익
부동산이던 기업이던 국가 주가지수던 CAPE가 낮으면 저평가, PER가 높으면 고평가
10단계 : 내 생각 정리
최종 투자결정 마지막 관문
스토리텔링으로 매수 이유 고민
매도 D-DAY 있다면 매력적 (실적발표일, 정책발표일, 해외수주결정일, 계절이슈 등)
특별함이 없으면 매수 보류
여기까지 세미나의 두번째 파트 공부한 부분이에요.
경제 단어를 한번에 들으니 머리아팠지만.. 정말 유익한 수업이었어요~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 ELD, ELS, ELF (주가지수 연동 상품), 펀드 (0) | 2020.04.06 |
---|---|
경제공부-투자하기전 알아야 할것 (0) | 2020.04.05 |
사이다 경제 - 경제 세미나 후기 ' 지금 당장 시작하는 주식 공부 5일 완성' (0) | 2020.04.03 |
경제공부 - 초보재테크 일기6 - 한국형 양적완화, 채권에 대하여 (0) | 2020.04.02 |
경제공부 - 초보재테크 일기 5 - 넷플릭스 활용기 (0) | 2020.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