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경제공부-투자하기전 알아야 할것

by fire45 2020. 4. 5.

경제공부를 시작하며, 선택했던 부자언니 시리즈를 드디어 정독을 끝냈어요! 

그리고 부자연습을 보면서 투자하기 전 공부하면 좋은 것들을 알게되어서 정리해보려고 해요!

 

1. 롱텀 뷰를 통하여 투자 타이밍을 판단해야 한다. 

 

1)롱텀뷰를 보기 위한 경제의 큰 흐름을 알기 위해 GDP를 파악하자!

 

GDP : Gross Domestic Product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

GDP=소비 + 투자 +정부지출 + 순수출(수출-수입)

 

GDP 성장률은 경제 성장률을 의미한다. 

GDP 성장률은 매년, 매분기마다 발표되며, OECD와 IMF 홈페이지(World economic data(세계경제전망)에 소개되는 데이터), 기획재정부, KDI, 민간경제연구원로 확인할 수 있다. 

 

GDP가 2.5퍼센트 이하 성장이면 저성장, 4퍼센트 이상 성장이면 고성장이라고 할 수 있다. 

 

2) 통상 경기가 좋아질거라고 예측될 때는 주식, 주식형펀드, 주식형 금융샹품, 농산물, 원유, 원자재와 같은 실물에 투자

3) 반대로 경기침체가 예측될다면 채권이나 금, 달러같은, 안전자산에 투자

3) 계속되는 경기침체에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쓰기 시작한다면, 부통산 투자 고려

 

2. 기준금리 정책이 중요한 이유.

우리나라는 한국은행 통화정책위원회에서 매월 둘째주 목요일에 적정금리 결정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돈의가치가 떨어지고, 실물의 가치가 오른다.

금리 인하로 대출 받는 사람이 많아지고, 기업들도 자금조달이 쉬워지며, 투자 및 고용이 증가한다. 

그러면 가계 소비가 늘어나고 기업 실적이 좋아지면서 주가가 오른다. (선순환!)

BUT, 돈의가치가 떨어지고 물건값이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올 수 잇고, 그러면 민간소비가 줄어들어 기업실적이 나빠져 인건비를 줄이려 급여가 동결되거나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 

 

미국은 FOMC에서 일년에 8-9회 정도 금리를 올릴지, 말지에 대해 발표한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달러자금을 회수해 급격한 달러유출 가능성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되고 한국 기준 금리가 동결이라면, 금리가 높은 미국으로 투자하려는 외국인이 달러를 빼나갈 수 있다. 

 

3.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경제정책 

1) 재정정책 - 정부지출 (확장적 예산 편성)

                - 조세

 

2) 통화정책 - 통화량 증가(양적 완화)

                - 기준금리 인하

                - 지급 준비율 인하

 

더 공부해야 할 것 

1)미국의 연방준비제도 및 기준금리 결정 방법

2)GDP 증가율과 각종 경제지표, 전문자들의 경제전망

3)주식, 채권, 부동산 등 투자대상에 대한 공부

4)자본주의의 역사, 화폐의 역사, 근대사

5)글로벌 이슈에 관심을 가지자!

6)공부한 것 실전대입! 

 

여기까지 부자특강 2탄 부자연습 책을 읽으면서 정리한 내용이에요!

우리 같이 차근차근 경제공부 해보아요~  마무리는 화이팅!!ㅋㅋㅋ

댓글